공동체 소식

  • 이달 완두콩
  • 품앗이 칼럼
  • 지난 완두콩

공동체 소식

> 이달 완두콩 > 공동체 소식

경북대 정수정 학생의 '완두콩' 인턴일기2017-11-07

경북대 정수정 학생의 '완두콩' 인턴일기

경북대 정수정 학생의 '완두콩' 인턴일기

밥을 즐겁게 잘 먹고 싶어졌다




전북대학교 행복사업단의 중매로 완두콩과 인연을 맺게 되었다. 전북대에서 사회학을 수학 중인 나는 완주그 곳 사람들을 만나기 위해 완두콩에 왔다.


우리의 선조인 곰이 동굴에서 쑥과 마늘을 먹고 일정 시간 후에 사람이 되었듯이, 화성의 대안공동체 산안농장에서 1달간 고생을 한 뒤 사람냄새 나는 인간이 되었다. 인간이 되기 이전에나는 나, 나와 함께한 사람들, 내가 살고 있는 지역을 소중하게 생각하지 않았다. 정확하게 표현하면, 나와 내 주위의 사람들, 내가 몸 담고 있는 지역을 소중히 생각하고 사랑한다는 것이 어떤 것인지몰랐다. 세계의 불평등을 해소시키기 위해 소명을 다해야 하는 것이 내가 이 땅에 살고 있는 이유이자 의무였고 그 외의 것들은 모두 불필요하고 일시적인 것들이라고 생각했다. 산안농장에서 체험을 마칠 즈음 그런 대의나 목표는 나의 삶을 살리는 것부터 시작된다는 것을 느끼게 되었다. 내가 즐길 수 있고 좋아하는 것이 무엇인지에 대한 질문부터 시작하니 내 주위 사람들과 내가 살고 있는 지역에 까지 자연스럽게 관심이 물들었다. 비로소 인간이 된 나는, 사람들이 궁금했다.


그 즈음 완두콩을 만났다. ‘평범한 사람들의 사소한 이야기를 싣는다.’ 그 모토가 나를 사로잡았다. 한 번은 잠깐 놀러왔고 한 번은 마을 취재를 다녀왔다. 지금까지 나의 가장 큰 변화는 밥이 좋아졌다는 것이다. 밥을 즐겁게 잘 먹고 싶어졌다. 죽지 않을 정도로만 음식을 위로 집어넣던 내가 밥을 통해 사람을 만나고 있었다. 첫 취재였던 다자미 마을에 가서는 10분 정도 인터뷰를 하다 말고 옹기종기 둘러 앉아 밥부터 먹었다. 어색함 속 따뜻함이 느껴졌다. , 그 마을에서 두 번째로 만난 어머니의 첫마디는 밥 먹었니? 다 묵고 살자고 하는 긴데 밥을 잘 무야돼였다. “밥 먹고 왔니?” 완두콩 식구들부터 시작해서 마을에서 만나는 사람에 이르기까지 가장 많이 들었던 말이다. 밥은 삶의 근원이다. 물적 에너지 제공이라는 기본적 기능을 넘어 사람 사이의 관계를 더 돈독하게 해주는 매개체 기능을 한다.


밥은 인간관계를 넘어 사회 구조와도 연관된다. 어디서 또 어떻게 생산된 밥을 먹을 것인가?

자연의 노래와 농부의 정성이 어우러졌는가? 아니면 다량 공급만을 위해 어두운 공장에서 컨베이어벨트 생산으로 인한 결과물인가? , 어떤 유통과정을 거쳤는가? 완주에서 로컬푸드를 처음 접했다. 로컬푸드 식재료를 먹으면서 소비자인 나와 생산자인 농부의 건강한 관계, 그 지역에서 생산한 신선하고 맛 좋은 풍미를 느낀다.


간편식으로 끼니를 때우는 많은 현대인들에게 밥은 몇 천 몇 만 원의 교환가치와 그것의 물적 가치인 사용가치만이 포함된다. 그러나 흔히 먹는 밥에도 아는 사람들만 아는 비밀이 숨겨져 있다. 둘러앉아 밥을 나눠 먹으며 서로의 체온을 느끼고 밥 속에 들어있는 생명력을 깨닫게 되는 미적가치가 바로 그것이다.

사람이 된 수정이는 밥을 통해 완주와 그 곳 사람들을 만났다. 그녀는 이제 어떤사람이 되어갈까?

 


/이 기사는 전북대행복사업단 현장실습 과정 중인 정수정(경북대 사회학과 3학년)씨가 쓴 글입니다.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로 북마크 하기 게시글을 네이버로 북마크 하기
이전글
완주군 통합사례관리사
다음글
[우리 귀촌했어요] 박일-김보영 부부
코멘트 작성 ※ 최대 입력 글자 수 한글 120자 (255 byt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