품앗이 칼럼

  • 이달 완두콩
  • 품앗이 칼럼
  • 지난 완두콩

품앗이 칼럼

> 시골매거진 > 품앗이 칼럼

[이승철의 완주이야기 31] 바위 이야기 2017-01-09

[이승철의 완주이야기 31] 바위 이야기

산 이야기를 하다보면 봉우리(), (), (), 바위() 얘기가 재미나게 이어진다.

비봉면 봉산리에 소금바위[鹽岩:염암]’가 있다. 바다와 멀고 소금산(鹽山:염산)이 없는데 웬 소금바위. 그 유래가 궁금하나 이렇다 할 정설을 찾지 못했다.고산읍지(高山邑誌)2종이 서울대학교 규장각에 있는데 이 책을 보면 군명(郡名) '봉산(鳳山)'이 나온다. 여기 봉산지명과 같아 이곳이 봉산군(鳳山郡)’ 옛터라면 소금과 관련된 이름이 나올 수야 있다. 염암(鹽岩)?’ 여기는 후미진 곳으로 바위 보고 속았다해서 속은 바위가 변해 '소금바위'일 수도 있다. 또 하는 땅속에 바위속이 바위 속은 바위소금바위가능한 추리이다.

 

생강 초배지에 봉산이 나오는데 봉실산 동록(東麓) 여기 봉산을 주목 해야 한다. 붉은바위[紫岩:자암]는 비봉면 백도리 입구 마을이다. 마을 18호 중 두 집만 빼어 모두 타성인데 4계절 경로당[정자]에서 틈만 나면 먹고 쉬며 가족처럼 지내기에 군수도 들리는 동네란다. 길가 바위 빛이 붉어 자암인데 잠시 들려 쉬어 갈만한 마을이다.

 

능바위[能岩:능암陵岩:능암]는 온섬[百島:백도]에서 더 안쪽에 있는 마음이다. 밭은 좁고 성산(城山)이 앞을 가로 막았다. 곰이 살 수 있는 큰 산이다. 그리하여 바위덩어리만 한 곰을 한자로 쓰면 웅암(熊岩)’이 되고, 여기 곰 웅()’에서 아래 이 떨어져 나가면 ()’만 남아 능암(能岩)’일 수 있다.

 

용바위(龍岩:용암)는 고산면 소향리 신상마을을 이렇게 불렀는데 내 바닥이 온통 바위이다. 들어나는 바위 형상이 이리 구불 저리 구불 마치 검은 으로 보인다. 이해서 용바위이다.

 

배바위(舟岩:주암)는 운주면 산북리[당마당] 건너 저고리로 들어가는 어귀에 있다. 작은 바위 동산이다. 많은 짐을 실은 배로 보인다. 근래 정자와 경로당을 가까이 세워 바위가 가려져 운치가 전만 못하다.

 

소바위는 동산면 산천리에 있다. 바위도 중요하지만 그 곁에 1000년 묵은 소나무가 있었는데 사람들의 욕심과 무지로 사라졌다. 나무뿌리를 무시하고 길을 내어 차가 다니자 소나무가 시들시들해지니 어떤 자가 불을 질렀고 그 후 감쪽같이 베어 갔다. 지금은 다른 나무가 서있고 음식점이 곁에 있어 이름만 소바위이다. 소나무가 있어 소바위였다. 탄금바위는 고산면 서봉리와 원산 사이 낮은 고개 길옆 바위를 말한다. 세월 따라 이리 깎이고 거리 깎여 발로 차면 넘어질 만큼 작아졌지만 얼마 전까지는 물가요 길 위는 절벽이었고, 저 위 남봉 물줄기가 들이받아 소()를 이루어 운치가 좋았다. 원래 조을정(趙乙鼎) 병사가 한가한 때 거문고를 타던 바위탄금(彈琴)바위라는 해석이 있다. 지금 이름만이라도 남아 있음은 윤재봉 전 고산면장 덕이다.

 

화산 검단에는 병풍바위 즉 병암(屛巖)’이 있고 글자를 새겨 놀았다. 안수산 바위 봉우리를 계봉(鷄峰)이라 하는데 금년은 닭의 해(丁酉年)’ 문제 해결의 고운 닭소리를 기다린다. 무어니 무어니 해도 구이면 거북바위가 자랑거리이다. 아름다운 전설을 지니고 있다. 한가한 때 마을 주민들이 나서서 괭이로 아래 부분 흙을 긁어내어 떠 있으면 분명히 고인돌이다. 확인을 서둘러라. 어려우면 완주문화원에 연락하여라.(063-263-0222)

 

 

/이승철 국사편찬위원회 사료조사위원-칼럼니스트

 

게시글을 twitter로 보내기 게시글을 facebook으로 보내기 게시글을 구글로 북마크 하기 게시글을 네이버로 북마크 하기
이전글
[완주행보] 時間富者_시간부자 <11>
다음글
[남현이의 청년일기-4] 우공이산
코멘트 작성 ※ 최대 입력 글자 수 한글 120자 (255 byte)